[사회]MOBA 장르 게임의 ‘상징 폭력’에 관한 연구 :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를 중심으로

 제목 : MOBA 장르 게임의 ‘상징 폭력’에 관한 연구 :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를 중심으로

저자 : 장함교, 최은경

초록 :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는 모든 사회 문화 영역에 상징 폭력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게임은 일종의 가상 세계에서 이루어지며 게임 내 모든 폭력은 기호로 나타난다. 폭력을 나타내는 기호는 종종 눈에 띄는 폭력적 기호, 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상징 폭력으로 나타난다. 현실 세계의 불평등 관계를 재현하는 게임 속에서 상징 폭력은 눈에 보이지 않는 폭력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게임에 몰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이를 분명히 인식하거나 감지하지 못하며, 대부분의 게이머는 상징 폭력의 통제를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한다. 본 연구는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후, 부르디외의 상징 폭력 관련 이론 중 필드(field), 아비투스(habitus), 자본(capital) 및 구별 짓기(distinction) 개념으로 MOBA 게임 장르의 상징 폭력 현상을 살펴보았다. 상징 폭력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리그 오브 레전드>는 신분 및 성별의 구별 짓기를 통해 게이머의 등급을 나누고 성차별 문제까지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 결과, <리그 오브 레전드>를 비롯한 MOBA 장르 게임이 기호를 통해 게이머를 통제하며 게이머의 과도한 기호 소비를 야기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 속 상징 폭력의 문제점을 밝히고, 게이머가 게임의 상징 폭력을 보다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상징 폭력에 의한 지배를 해소하는 데 있다. 그리고 MOBA 게임의 상징 폭력 요소에 숨겨진 폭력을 해석 및 탐구함으로써, 게임으로부터 게이머의 의식이 통제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징 폭력이 게이머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관한 경각심을 전달하고자 한다.


Pierre Bourdieu argues that there is symbolic violence in all cultural and social fields. Games take place in a virtual world, and all violence within games is presented in symbolic form. Symbols that represent violence are often explicit violent symbols or invisible symbolic violence. In games that reproduce unequal relationships in the real world, symbolic violence appears in the form of invisible violence. Therefore, during the immersive process of playing games, users often cannot consciously realize or perceive it, and most players accept and endorse the control of symbolic violence. This study chose the game as the research object, using Bourdieu"s concepts of field, habitus, capital, and distinction in the theory of symbolic violence to study the phenomenon of symbolic violence in MOBA games. Regarding symbolic violence, the study found that grades players based on their identity and gender, even causing gender discrimination issu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OBA games like control players through symbols, and cause players to excessively consume symb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oblem of symbolic violence in games, provide the correct direction, enable players to have a clearer understanding of symbolic violence in games, and eliminate the domination caused by symbolic violence. By explaining and exploring the factors of symbolic violence in MOBA games, we can prevent games from controlling players" consciousness and increase players" awareness of the negative effects of symbolic violence.

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447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