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소개


게임과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개요

목표

게임의 긍정적 효용 및 가치에 대한 학술 연구를 통하여 올바른 게임문화 조성 및 게임관련 인식 제고

설립 목적

국내대표 게임 연구 전문기관 위상 확립

게임 학술 포럼 및 대중 공개 강연 행사

신진 연구 인력 양성 및 게임 인식 개선

원장 인사말

게임과학연구원 원장      김   경   일



게임과학연구원은 국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일한 게임 연구 전문 기관으로, 

게임이 인간과 사회,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게임은 보통의 여가 활동을 넘어 인지적·사회적·문화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깊이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우리 연구원은 과학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게임의 인지적·사회적·문화적 기능을 

실증적으로 조명하며, 게임이 지닌 가치와 가능성을 확장해 나가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게임과학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공유하기 위해 학술 포럼, 

공개 강연, 대중적 연구서 발간, 게임정보 AI아카이브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학술 연구, 정책 제언, 국제 협력, 대중 이해 제고를 아우르는 종합적 접근 방식을 통해 게임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게임의 사회적·문화적 가치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원장 인사말

게임과학연구원 원장    김   경   일

게임과학연구원은 국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일한 게임 연구 전문 기관으로, 

게임이 인간과 사회,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게임은 보통의 여가 활동을 넘어 

인지적·사회적·문화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깊이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우리 연구원은 과학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게임의 

인지적·사회적·문화적 기능을 실증적으로 조명하며, 

게임이 지닌 가치와 가능성을 확장해 나가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게임과학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공유하기 위해 학술 포럼, 공개 강연, 

대중적 연구서 발간, 게임정보 AI아카이브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학술 연구, 정책 제언, 국제 협력, 

대중 이해 제고를 아우르는 종합적 접근 방식을 통해

게임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게임의 사회적·문화적 가치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연혁



2024


4월           게임과학 심포지엄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이스포츠' 개최

7월           게임과학연구원 3차년도 연구 결과 보고회 '게임과학포럼' 개최

8월           '디그라 게임과학 클래스 #1 스페인' 개최





2023


4월           '지금,왜,게임과학인가?' 심포지엄 개최

8월           게임과학연구원 2차년도 연구 결과 보고회

9월           한일 게임연구 포럼 '지속 가능한 협력·교류·미래' 개최





2022


2월           제4회 TAG Talk - '엄마! 나 게임하고 있어요!' 개최

5월           게임과학연구원 사무국 이전

8월           게임과학연구원 1차년도 연구 결과 보고회





2021


2월          게임과학연구원 출범





2020


9월          제3회 TAG Talk - '펜데믹 쇼크, 슬기로운 게임 생활' 개최 





2019


2월           제3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3월           제4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4월           제2회 TAG Talk - 'Gaming disorder, 원인인가 결과인가' 개최

9월           제5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2018


9월           제1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10월         제2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12월         제1회 TAG Talk - '게임은 뇌 친구' 개최



연혁

2024

4월

게임과학 심포지엄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이스포츠' 개최

7월

게임과학연구원 3차년도 연구 결과 보고회 

'게임과학포럼' 개최

8월

'디그라 게임과학 클래스 #1 스페인' 개최

2023

4월

'지금, 왜, 게임과학인가?' 심포지엄 개최

8월

게임과학연구원 2차년도 연구 결과 보고회

9월

한일 게임연구 포럼 

'지속 가능한 협력·교류·미래' 개최

2022

2월

제4회 TAG Talk - 

'엄마! 나 게임하고 있어요!' 개최

5월

게임과학연구원 사무국 이전

8월

게임과학연구원 1차년도 연구 결과 보고회

2021

2월

게임과학연구원 출범

2020

9월

제3회 TAG Talk - 

'펜데믹 쇼크, 슬기로운 게임 생활' 개최

2019

2월

제3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3월

제4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4월

제2회 TAG Talk - 

'Gaming disorder, 원인인가 결과인가' 개최

9월

제5차 Game-n-Scinece 포럼 개최

2018

9월

제1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10월

제2차 Game-n-Science 포럼 개최

12월

제1회 TAG Talk - '게임은 뇌 친구' 개최

조직도

   운영위원회

위원장 김경일

게임과학연구원 원장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고문 윤태진

DiGRA 한국지회장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고문 박건우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

고려대 의대 노인건강연구소장

위원 권민석

넷마블 정책실 실장(이사)

위원 조수현

게임문화재단 사무국장


   사무국

사무국장 나의진

연구원 및 연구센터 총괄

팀장 강세진

연구원 및 연구센터 운영

주임연구원 한소울

연구원 및 연구센터 운영지원


   연구센터 및 객원연구원

게임과뇌센터 책임연구원 안효연

서울대 체육학 박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이사

객원연구원 이정엽

서울대 국어국문학 박사

순천향대 한국문화콘텐츠학 교수

객원연구원 진예원

연세대 미디어문화연구 박사

이화여대 융합콘텐츠 전공 교수

객원연구원 나보라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박사

핀란드 univ.Jyvaskyla 

박사 후 과정

객원연구원 이상혁

서울대 언론정보학 박사

서울대 기초교육원 컴퓨팅 강좌 강의 전담 교수

객원연구원 고은지

객원연구원 신현우

이화여대 디지털미디어학부

미디어공학 전공 공학박사

따따따연구실 운영

서울과기대 IT정책대학원

미디어정치경제학 박사

서울과기대 인문교약학부 강사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