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게임 내 비도덕적 행동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 이용자 정체성, 게임규칙 인식 및 도덕적 포지셔닝을 중심으로

제목 : 게임 내 비도덕적 행동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 이용자 정체성, 게임규칙 인식 및 도덕적 포지셔닝을 중심으로

저자 : 이승제, 박미영, 정의준

초록 :
최근 게임 시장에서는 플레이밍(flaming), 트롤링(trolling) 및 불법 프로그램 활용과 같은 비도덕적 게임행동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게임행동이 게임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적지 않지만, 관련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본고는 게임추론 가설을 통해 비도덕적 게임 행동 양상을 정리하고, 연관요인으로 이용자의 게임규칙 인식과 공정성 지각, 사회적 정체성 및 도덕적 정체성, 도덕적 포지셔닝 등에 대해 209명의 〈리그 오브 레전드〉 이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덕적 정체성과 형식적 규칙 인지는 비도덕적 게임 행동에 부적 영향력을 미친 반면, 도덕적 포지셔닝과 사회정체성은 비도덕적 게임 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덕적 정체성과 도덕적 포지셔닝은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Recently in the gaming market, immoral game behaviors such as flaming, trolling, and illegal program use have drawn attention as serious problems. With 209 gamers of 〈League of Lege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erception toward in-game rules, social identity, moral identity, and moral positioning with control of gender and gaming time. Results showed that moral identity and formal moral perception toward in-game rules had positive effects while moral positioning and social identity had negative effects on immoral behavior. Notably, moral identity had interaction effect with moral positioning.

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31951